이상 기후변화로 인하여 봄이 왔음에도 잦은 폭설,비,황사로 인하여 계절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시기다. 산에는 이상 기후에도 분명 봄의 전령사 산수유 꽃이 피었다.
아지랭이 피어오르는 따뜻한 봄이 기다려지는 바램에도 불청객 황사가 자꾸 방해를
놓는다. 봄의 불청객 황사는 정말 싫다. 황사는 대기중에 나타나는 기상현상의 일종이라는데
계기로 관측 하는것과 목측으로 관측 되는것이 있다.
기상 현상은 대기중에 지상 또는 지상의 물체 위에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것으로 육안으로 볼 수
있거나 귀로 들을 수 있는 현상으로 전리층을 제외한 대기의 여러가지 현상을 말하며 보통 기상학의
대상이 되는것은 지표100km 높이까지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기상 현상은 대기중에 물현상.먼지현상.
빛현상.전기현상으로 구분한다.
황사는 먼지 연무의 일종으로 주로 대륙의 황토지대에서 불려 올라간 다량의 황토 먼지가 온 하늘을 덮고
떠다니면서 서서히 하강하는 현상이다. 심할때는 하늘이 황갈색으로 보이고 햇볓이 흐려지며 대기중에
흙먼지가 떠다니며 지면에 흙먼지가 쌓이기도 한다.
가정에서 황사대비
황사시 가정에서는 실내로 황사 먼지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외출시 보호안경,마스크, 긴소매 옷
등을 착용하고 노약가.호흡기 질환자등 외출를 삼가하도록 해야한다.
축산·시설원 등 농가에서
가축이 활동하는 방목장의 가축대피와 피복물품준비,동력분무기,황사세척용장비 점검정비와
비닐하우스,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 및 환기창 점검에 철저히 대비해야한다.
기호표
대기 중의 먼지현상이란 물이나 얼음 입자는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고 주로 고체 입자들이 대기 중에서
떠 다니거나 바람에 의해서 불려 오르고 있는 현상들을 말한다.
연무 (haze)
-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극히 작고 건조한 고체 입자가 대기 중에 떠다니고 있는 현상으로서 그 수가
-
많기 때문에 대기가 우유빛으로 흐려 보이고 시정을 악화시킨다. 연무를 통해서 밝은 배경을 볼 때에는
-
황색이나 적갈색을 띠게 되고, 어두운 배경은 청색을 띠게 된다. 연무는 그 구성 입자들에 의한 빛의 산란
-
효과 때문이며, 이들 입자들 자신이 색을 갖고 있을 때에는 그 색깔이 배경의 색채를 띤다. 연무와 박무는
-
색으로 구별할 수 있다.
먼지연무 (haze)
- 바람에 의해서 지면으로부터 불려 올라간 먼지나 모래의 작은 입자가 대기 중에 떠있는 현상이며, 날린
- 먼지에 의해서 생긴 것이 확실하게 추정될 때에 한해서 먼지연무로 한다.
황사 (Asian dust)
- 먼지연무의 일종으로서 주로 대륙의 황토지대에서 불려 올라간 다량의 황토먼지가 온 하늘을 덮고 떠다니며
- 서서히 하강하는 현상이다. 심할 때는 하늘이 황갈색으로 보이고 햇빛이 흐려지며 노출된 지면이나 지물에
- 흙먼지가 쌓이는 수도 있다. 전문전송 보고 시에 황사현상은 시정에 관계없이 현재일기코드 06으로 보고하며,
- 30계열은 먼지 또는 모래보라(dust storm, sand storm)에 관한 사항이므로 황사에 적용하지 않는다.
연기 (smoke)
- 연소에 의해서 생긴 작은 입자가 대기 중에 떠다니고 있는 현상을 말한다. 연기는 지면 부근에 낮게 떠있으면서
- 시정장애를 일으키는 수도 있고 높게 떠있으면서 전 하늘을 덮는 수도 있다. 일출과 일몰 시에 연기를 통해서
- 보이는 태양은 대단히 빨갛게 보이고 낮에는 오렌지색으로 보인다. 도시나 도시 부근에서의 연기는 갈색이나
- 어두운 회색 또는 검은 색이 된다. 근처에 있는 산림의 화재에서 확산되는 연기는 태양광선을 산란하기 때문에
- 하늘을 황록색으로 변하게 한다. 아주 원거리에서 발생하여 퍼져온 연기는 엷은 회색이나 푸른빛을 띤다.
- 연기가 다량으로 있을 때에는 그 냄새로도 식별되는 수가 있다. 연기의 발생원인이 확실히 추정될 때에
- 한해서 연기로 잡고 발생원인이 명확치 않을 때에는 연무로 취급한다.
강회 (ash fall)
- 화산 폭발로 인하여 다량으로 공중에 불려 올라간 화산재가 서서히 지면으로 낙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날린먼지 (drifting or blowing dust or sand)
- 먼지 또는 작은 모래알이 바람에 불려 올려진 현상을 말한다.
땅날린먼지 (drifting dust or drifting sand)
낮게 불려 올려진 날린 먼지로 눈 높이의 수평시정은 감소되지 않는다.높은날린먼지 (blowing dust or blowing sand)
높이 불려 올려진 날린 먼지로 눈높이의 수평시정은 대단히 나쁜 경우가 많다.
먼지보라 (dust storm 또는 sand storm)
- 먼지 또는 모래알이 강풍에 의하여 아주 높이 그리고 격렬하게 불려 올려진 현상을 말한다. 먼지보라의
- 전면은 마치 넓고 큰 벽이 급속히 밀려오는 것같이 보이는 수가 있다. 이 벽 뒤에는 적란운(Cb)을 동반하는
- 수가 많으며 때로는 한랭기단 전면에서 구름을 동반하지 않는 수도 있다.
회오리바람 (whirlwind, dustwhirl, sandwhirl)
- 회오리바람은 지면에서 불려 올려진 먼지나 모래알들이 기둥 모양을 하고 선회하는 현상으로 기둥의 크기는
- 작고 대체로 수직이며 그 높이는 수시로 변동하고 있다. 현상은 지면 부근의 대기가 대단히 불안정할 때에
- 생기며, 저기압성 회전에 의하여 불려 올려지는 수가 많다.
2010년3월28일 황사일기도
-
(기상청 제공)
-
봄철 불청객 황사 피할 수 없지만 건강관리.농사등 특히 여자들의 피부 관리에 신경을 써야하며 철저히 대비해야한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말 잠시 초대작가전에... (0) | 2010.08.20 |
---|---|
[스크랩] 근무중... (0) | 2010.08.20 |
자연학습원 지렁이 사육장 (0) | 2010.08.11 |
[스크랩] 제2기 생활공감정책 주부모니터단 확대 구성 (0) | 2010.07.26 |
[스크랩] 가을에는 집만 나서면 구경거리가 지천이다 - 답사길에 만나는 풍경들 (0) | 2010.03.21 |